본문 바로가기
[짠내일지]/생활재테크

[짠테크]안쓰는 기프티콘들은 판매하자

by 한선비 2022. 2. 6.

돈 모으기를 시작하면서, 그동안 소소하게 생각했던 1-2만원도 굉장히 큰 액수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는 소소한 활동 중 하나가 ‘기프티콘’ 선물 판매하기다.

이동반경에 없는 가게의 기프티콘이나, 자주 이용하지 않는 업종의 선물을 받은 경우 기프티콘 사용이 거의 불가한 수준이다.
카카오톡 기프티콘의 경우, 기본 유효기간 3개월 후 90% 금액을 환불 받을 수 있지만, 3개월 동안 고이 모셔두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선물받은 기프티콘의 환불예상금액은, 아래와 같이 ‘구매금액 및 환불가능금액 안내’ 부분에서 확인가능)

카카오톡 기프티콘 교환/환불 내용(출처: 카카오톡)



이렇게 가만히 두어도 카카오톡 어플 상으로도 환불처리가 가능함에도,  기프티콘  판매 어플을 활용하는 이유는 당연히 “환불가능시기” 때문이다.

기프티콘 업체를 활용하면, 기본적으로 총 3~4영업일 정도면 판매부터 정산금액 수령 가능했다.

업체 활용 시, 소요되는 시간


그렇기에, 지금 당장 필요없는 이모티콘을 판매하여 원하는 데에 쓰기에는 나쁘지 않아 보였다. 


1. 기프티콘 판매 어플 다운로드/가입 진행


Playstore에 ‘기프티콘’만 검색해도 다양한 어플이 나오는데,  어플 별로 기프티콘 판매가격이 다르다.
(* 스벅 아메리카노 기준(당시 4,100원) 으로, 3,300원 가량에 매입하니 일반적으로 20% ~ 30% 할인된 금액에 구매하는 듯 함)
이 중, 내가 선택했던 어플은 ‘니콘내콘’이라는 어플이었는데, 업체에서 직접 구매를 하고 판매하는 시스템인 듯 하여 해당 어플을 이용했다.

요즘 대부분 어플과 같이, SNS연동을 통한 가입이 가능하여 후다닥 가입 진행했다.

 

 


 

2. 판매희망하는 기프티콘을 등록하고 매입리뷰대기

 

판매희망하는 업종 > 가게 명을 순차적으로 클릭 시, 기프티콘으로 판매되고 있는 상품명 확인이 가능하다.
(이 때, 본인이 소지하고 있는 기프티콘 상품명이 등록이 안된다면 새롭게 등록도 가능!)

 

희망하는 기프티콘 판매 방법1



희망하는 기프티콘 판매 방법2

내가 소지하고 있는 기프티콘과 매칭되는 상품이 발견된다면, 클릭 후 기프티콘 이미지를 등록하면 된다.
만약,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단품을 기프티콘을 여러장 소지하고 있다면, 한번에 여러장 업로드가 가능하다.
(* 사람들이 자주 선물하는 기프티콘의 경우, 어플 내에서 매입을 보류하기도해서 팔고 싶어도 못파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기프티콘 이미지를 업로드 한 후, ‘리뷰신청’을 진행하면 업체에서 검토 후 매입가격을 제시한다. (알림이 옴)
이 때, 알림 확인 후, ‘판매 수락’을 진행하면 그대로 기프티콘 판매 완료가 된다.
(* 판매가 완료되어도 ‘카카오톡 선물하기’에 해당 기프티콘이 남아있는 경우가 있는데,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

 


3. 기프티콘 판매 정산금액 출금하기

 

기프티콘 판매를 완료했다고 해서, 바로 돈으로 출금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물론, 카카오톡 선물하기 환불을 기다리는 것보다는 빨랐는데, 정산금의 경우, 판매수락일 기준으로 영업일 기준 3~4일 후에는 수령 가능했다.  

판매 수락 후, +2 영업일 기준으로 ‘정산금액’ 현황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최종적으로 정산금 출금신청을 해야 입금이 진행된다. (출금신청일 오후 4시~5시)

 

이렇게 안쓰는 기프티콘 판매를 통해서, 야금야금 용돈을 모았다. 

쏠쏠한 나의 정산금액 현황



기프티콘 판매 절차가 생각보다 심플하기 때문에, 3-4일의 여유를 갖는다면 요긴하게 쓸 수 있는 어플이다.

 

이렇게 판매 못지않게, 요긴하게 쓸 수 있는 기능은, 어플 최초 접속 시 확인이 가능하지만 바로 '구매'기능!
어플을 통해 기프티콘 구매/사용한다면 20~30%는 아끼면서 쓸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한잔이 3,500원 정도에 구매 가능한데, 현재 스벅 매장 가격 기준인 

4,500원과 비교했을 때 약 20% 할인된 가격에 구매가 가능하다! 
(물론, 원하는 시점에 해당 기프티콘을 구매할 수 있는 타이밍이 딱 나오지 않을 때도 있었다.)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게 최선이기는 하지만, 만약 소비를 할 경우에도 이렇게 기프티콘 앱을 활용하면
알뜰살뜰하게 소비를 할 수 있다는 점. 아직, 타이밍이 맞지 않아서 기프티콘 구매/사용은 하지 못했지만 
조만간 한번 이 기능도 활용해봐야겠다. 


 

댓글